일상정보/건강정보

유산균 효능과 종류_ 복용방법 (프로바이오틱스)

φ㎯ 2021. 10. 7. 21:40
반응형

도대체 유산균이 좋다는데
뭐가 좋다는거야?


유산균이란 유산을 만들어내는 균주를
유산균이라 합니다.

장내에 다양한 균이 존재하고
다양한 일을 하고 있는데요

'프로바이오틱스'
아마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체내에서 유익한 효과를 주는 균을 프로바이오틱스라고 합니다.
대부분 유산균들이라고 합니다.
불가리아 사람들이 장수하는 이유를
유산균 때문이라고 할 정도로 유산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유산균을 왜 먹어야 할까요 ?


요즘에는 고기반찬이 없으면 밥을 못먹는다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점점 식습관이 육류와 높은 콜레스테롤 위주의 식단으로 바뀌어 가고 있는데요
(내 이야기인건 안비밀)

이러한 식단을 유지하다보면 체내에 담즙산이
부패성 세균에 의해서 변성되어
발암물질이 되고 그게 신체에 퍼지는걸 막아주는게 유산균입니다.

유산균 꼭 드세요 두번드세요.

유산균을 섭취량 이상으로 섭취하게 된다면 이형젖산발효를 하는 균주에 의해
가스를 발생시키고 설사를 유발한다.
항생제 먹을때 유산균을 먹으면
항생제 성분에 의해서 효과가 저감됩니다.



이런 사람은 유산균 꼭 먹어야 됩니다.


"유산균 변비 있는사람들이 먹어야하거 아닌가?"

유산균은 변비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것은 사실입니다.
유산균을 변비약정도로 보시면 곤란합니다.

유산균으로 인해서 장이 건강하면 면역세포를
발달 시켜서 면역력이 높아지고
또한 혈관을 튼튼하게 만들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며 혈류 개선과 심혈관 질환
그리고 고혈압을 예방하는 효과
그리고 설사를 자주하거나 무른변을 보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술 좋아하시는분들도 꼭 챙기셔야 합니다.

그럼 어떤 유산균을 먹어야 할까요?


초록창에 검색하면 정말 다양한 유산균들을
판매하고 있는데요

유산균은 아무리 좋아도
장에서 증식되지 못하면 무용지물입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유산균 약들은
10억마리 100억마리 그 이상도 판매되고 있습니다.

장까지 도달하는 마릿수를 보장하는
제품들도 있다고 하네요 ㅎㅎ

제가 드리고 싶은 말은

동물성 유산균보다 식물성 유산균이 생존율이
더 높다고 발표된 바 있습니다.
저도 아이허브에서 락토비프며 다양한 유산균을 먹어봤는데 오히려 설사를 하더라구요

(아마 엄청나게 살아서 도달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사실 포스팅을 하게 된 계기가

얼마전에 다시 유산균을 시작했는데 제대로 효과를 보고 있어서 입니다.

변이 무르고 설사를 자주하며 외출하기전에 화장실을 꼭 가야지 마음이 편하고

뭐 그런 생활을 하다가 다시 유산균을 시작했는데 아주 만족하고 있습니다.

저는 식물성유산균으로 섭취하고 있는데 장이 편안해지네요

혹시 궁금하시다면 댓글에 남겨주신다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유산균 및 영양제를 골든타임에 드시고 싶으시다면
https://subakjuice.tistory.com/113

영양제_비타민 먹는시간 및 순서

https://subakjuice.tistory.com/112 비타민 결핍증상 (사무직 직장인 필독) 비타민 D 부족증상_ 직장인 필수 섭취 비타민 D 결핍이 야외활동을 꺼리는 사람이나 야외 활동이 어려운 고령층에게 더 취약하

subakjuice.tistory.com


변비와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물을 건강하게 드시고 싶으시다면
https://subakjuice.tistory.com/118

건강하게 물 마시는법

우리의 몸은 70%가 물로 구성되어있다. 산소를 운반하고 신진대사를 돕고 그리고.. 뭐 이런내용은 다 아시는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물을 왜 잘 마셔야하느냐 몸속에 독소를 배출을 해야하는데 배

subakjuice.tistory.com


요즘 자주 피곤함을 느끼시는 직장인이시라면
https://subakjuice.tistory.com/112

비타민 D 부족증상_ 직장인 필수 섭취

비타민 D 결핍이 야외활동을 꺼리는 사람이나 야외 활동이 어려운 고령층에게 더 취약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와있습니다. 제가 볼때는 사무실 직장인들도 포함이 된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또한 요

subakjuice.tistory.com









반응형